티스토리 뷰
Chapter 4. How to Talk About Science and Scientists
이번 챕터에서는 과학자들을 언급하는 단어에 대해서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Lesson 1.
단어의 기본 개념 정리
1. an anthropologist -> whither mankind?
인류학자 -> 인류는 어디로?
단어의 어감 해설
The field is all mankind-how we developed in mind and body from primitive cultures and early forms.
이 과학의 연구분야는 인류전체입니다. 우리가 어떻게 마음과 몸을 발전시켜왔을까요? 원시문화와 초기의 모습에서 말이죠
2. an astronomer -> what’s above?
천문학자 -> 저 위엔 무엇이 있을까?
단어의 어감해설
The field is the heavens and all that’s in them – planets, galaxies, stars, and other universes.
이 과학의 연구분야는 천체와 그 안에 있는 모든 것 – 행성, 은하, 별, 그리고 다른 우주-에 대해서 다룹니다.
3. a geologist -> and what’s below?
지질학자 -> 우리의 아래에는 무엇이 있을까?
단어의 어감해설
The field is the comparatively little and insignificant whirling ball on which we live -the earth. How did our planet come into being, what is it made of, how were its mountains, oceans, rivers, and valleys formed, and what’s down deep if you start digging?
이 분야는 상대적으로 보잘것없고 중요하지 않은 조그마한 회전하는 구, 즉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 대해 연구합니다. 우리의 행성이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고 지구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고, 지구에 있는 산맥과 바다, 강, 그리고 계곡들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으며 우리가 파기 시작한다면 그 깊은곳에 무엇이 있을까?
4. a biologist -> what is life?
생물학자 -> 생명이라는 것은 무엇일까?
단어의 어감해설
This field is all living organisms – from the simplest one – called amoeba to the amazingly complex and mystifying structure we call a human being. Plant or animal, flesh or vegetable, denizen of water, earth, or air- if it lives and grows, this scientist wants to know more about it.
이 과학의 분야는 모든 살아있는 생명체입니다. 가장 단순한 생물인 아메바로부터 엄청나게 복잡하고 신비로운 구조물을 가진 인간까지 그 범위는 넓습니다. 식물이나 동물, 짐슴이나 풀 등 물과 땅 그리고 공기중에서 사는 모든 생명체에 대해 다룹니다. 만약 그 생명체가 살고 성장한다면 과학자들은 그것에 대해 더 많이 알기를 원합니다.
5. an botanist -> flora
식물학자 -> 식물군
단어의 어감해설
Biology classifies life into two great divisions – plant and animal. This scientist’s province is the former category – flowers, trees, shrubs, mosses, marine vegetation, blossoms, fruits, seeds, grasses, and all the rest that make up the plant kingdom.
생물학은 크게 생물을 두가지로 구분합니다. 동물과 식물이죠. 이 과학자의 분야는 바로 전자(식물) 입니다. 식물에는 꽃, 나무와 떨기나무, 이끼, 해양식물, 꽃나무, 열매와 씨앗, 풀 및 식물계를 구성하구 모든 것이 연구 대상입니다.
6. a zoologist -> and fauna
동물학자 -> 동물군
단어의 어감해설
Animals of every description, kind, and condition, from birds to bees, fist to fowl, reptiles to humans, are the special area of exploration of this scientist.
모든 종류의 유형과 조건에 존재하는 동물들 – 새부터 벌, 어류부터 조류, 또한 파충류부터 인간 – 이 이 과학자의 연구분야입니다.
7. an entomologist -> and all the little bugs
곤충학자 -> 그리고 온갖 작은 벌레들
단어의 어감해설
There are over 650,000 different species of insects, and millions of individuals of every species – and this scientist is interested in every one of them.
65만종의 곤충이 존재하며, 각각의 종들마다 수백만개의 개체가 존재하며 이 분야의 과학자들은 이런 모든 종류의 벌레에 관심을 가집니다.
8. a philologist -> tower of Babel
언어학자 -> 바벨탑
단어의 어감해설
This linguistic scientist explores the subtle, intangible, elusive uses of that unique tool that distinguishes human beings from all other forms of life- to wit: language. This person is, in short, a student of linguistics, ancient and modern, primitive and cultured, Chinese, Hebrew, Icelandic, Slavic, Teutonic, and every other kind spoken now or in the past by human beings, not excluding that delightful hodgepodge known as “pidgin English,” in which a piano is described as “big box, you hit ‘um in teeth, he cry,” and in which hamlet’s famous quandary,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 is translated into “Can do, no can do – how fashion?”
이 언어 과학자는 미묘하고 막연하고 파악하기 어려운 언어 - 인간을 다른 생명체와 구별해 주는 유일한 도구 -의 용법이나 예시를 연구합니다. 즉 이 분야의 과학자는 고대 언어와 현대언어, 원시언어와 개량된 언어, 중국어, 히브리어, 아이슬란드어, 슬라브어, 튜턴어 등 지금쓰이거나 과거에 쓰였던 인류의 모든 종류의 언어에 대해서 연구합니다. 피진 영어로 알려진 혼합어도 연구합니다. 피진영어에서는 피아노를 “이빨을 때리면 우는 소리를 내는 커다란 상자”로 표현하고, 햄릿의 유명한 독백인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는 “할 수 있느냐 할 수 없느냐, 어떻게 할까?” 로 번역이 됩니다.
9. a semanticist -> what do you really mean?
의미론자 -> 정말로 뜻하는게 뭐야?
단어의 어감 설명
This linguistic scientist explored the subtle, intangible, elusiv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thinking, between meaning and words; and is interested in determining the psychological causes and effects of what people say and write.
이 언어과학자는 언어와 사고, 의미와 단어사이에 미묘하고 막연한 관계를 연구하며 사람들이 쓰고 말하는 것에 있어서 심리적인 인과관계를 파악하는데 관심이 있습니다.
10 a sociologist -> who are your friends and neighbors?
사회 학자 -> 너의 친구와 이웃은 누구인가?
단어의 어감설명
This scientist is a student of the ways in which people live together, their family and community structures and customs, their housing, their social relationships, their forms of government, and their layers of caste and class.
이 과학자는 사람들이 같이 살아가는 방법에 대해서 그들의 가족과 공동체의 구조와 관습, 그들의 주거 무화, 그들의 사회적인 관계, 그들의 정부의 형태 그리고 세습적이고 사회적인 계급에 대해 연구합니다.
연습문제
이제 앞에서 익혀본 10개의 단어를 토대로 다음의 연습문제를 풀어봅시다.
1. 앞에서 익힌 단어를 정확히 발음해 봅시다.
이 부분은 필요하다면 포털의 어학사전 기능을 쓰시길 바랍니다.
1) anthropologist
2) astronomer
3) geologist
4) biologist
5) botanist
6) zoologist
7) entomologist
8) philologist
9) semanticist
10) sociologist
2. 다음의 설명과 연관되는 단어를 찾아 보세요
a. community and family life
b. meanings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words
c. development of the human race
d. celestial phenomena
e. language
f. insect forms
g. the earth
h. all forms of living matter
i. animal life
j. plant life
1) anthropologist
2) astronomer
3) geologist
4) biologist
5) botanist
6) zoologist
7) entomologist
8) philologist
9) semanticist
10) sociologist
3. 다음의 단어 설명을 보고 이 과에서 배운 연상되는 단어를 쓰세요
1) insects
2) language
3) social conditions
4) history of development of mankind
5) meanings of words
6) plants
7) the earth
8) the heavenly bodies
9) all living things
10) animals
'English Study > Word Power Made Easy'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4. Lesson3 관련단어 어원공부2 (1) | 2019.01.03 |
---|---|
ch4. Lesson 2 관련단어 어원공부1 (1) | 2019.01.02 |
Ch3 Review & one more (3) | 2018.12.31 |
Ch3. Lesson 4 관련단원 어원공부3 (1) | 2018.12.28 |
Ch3. Lesson3 관련단어 어원공부2 (0) | 2018.12.28 |
- Total
- Today
- Yesterday
- 수학 상
- Word power made easy
- 변성암
- 디렉터 스위트 365
- 평가문제
- 암석
- 다항식의 연산
- 고등수학 상
- 영어공부
- English
- 퇴적암
- 중력
- 고난도문제
- 고난도
- 중학과학1
- DBMS
- 고등수학
- 영상편집
- 중학과학
- 화성암
- 파워디렉터 공부
- 연습문제
- 지구내부구조
- 영어단어
- 파워디렉터365.
- 오늘의 세계사
- 영어독해
- reading
- 탄성력
- 대륙이동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