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수달곰 공부방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수달곰 공부방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200)
    • English Study (54)
      • Word Power Made Easy (42)
      • 영어독해 (12)
    • Computer Study (30)
      • Director Suite 365 (23)
      • DBMS (7)
    • 중학과학 (51)
      • 중1 과학 (15)
      • 중1 과학 문제풀이 (33)
      • 중3 과학 (2)
      • 중3 과학 문제풀이 (1)
    • 고등과학 (7)
      • 고3 생명과학1 모의고사 풀이 (4)
      • 고3 지구과학1 모의고사 풀이 (0)
      • 고3 물리1 모의고사 풀이 (0)
      • 고1 통합과학 (2015년 개정) (1)
      • 고3지구과학1 (2015년 개정) (0)
      • 고3화학2 (2015년 개정) (2)
    • 고등수학 (19)
      • 수학 (상) (19)
    • 오늘의 세계사 (37)
  • 방명록

중학과학1 (32)
Ch1 지권의 변화 Lesson 1 연습문제 3회

1. 그림은 수권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있는대로 고른 것은? ㄱ. 지구상의 물의 대부분은 바다에 분포한다. ㄴ. A는 주로 고산 지대나 극지방에 분포한다. ㄷ. B는 지표 위에서 바다로 이동한다. 2. 지구 내부를 조사하는 간접적인 방법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ㄱ. 시추 ㄴ. 운석 연구 ㄷ. 지진파 연구 ㄹ. 화산 분출물 조사 3. 지구 내부의 층상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4. 표는 지구 내부 구조 중 핵의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깊이(km) 평균 밀도 상태 주성분 핵 외핵 2900~5100 10~12 액체 철 내핵 5100~6400 12~13 고체 철과 니켈 이와 같은 정보를 얻는 데 사용한 연구 방법을 다음 보기에서 고르시오 ㄱ. 운석연..

중학과학/중1 과학 문제풀이 2019. 2. 11. 14:42
Ch1 지권의 변화 Lesson 4 변화하는 지권

3. 변화하는 지권 앞에서 살펴본 바대로 암석으로 구성된 지권은 가만히 있는듯이 보이지만 실제로는 아주 조금씩 이동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과학적으로 대륙이 이동한 증거를 찾아보고 그 이동한 여러 증거들에 대해서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3.1 대륙 이동설 1) 대륙 이동설 베게너라는 과학자는 지구가 태초에는 판게아라는 큰 대륙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그 판게아가 갈라지고 이동하여 현재와 같은 대륙분포를 이루게 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를 대륙이동설이라고 합니다. 그럼 베게너는 어떻게 해서 대륙이 이동했다고 생각하게 되었던 것일까요? 그 근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대륙 이동의 근거 a) 해안선의 일치 지구본이나 세계지도를 많이 보신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대서양의 사이에 두고 남아메리카의 ..

중학과학/중1 과학 2019. 2. 11. 14:02
Ch1 지권의 변화 Lesson 2 연습문제 1회

1. 화성암을 분류하는 기준 두가지를 쓰시오 2. 화산 활동으로 분출된 화산재가 쌓여 만들어진 퇴적암의 이름은? 3. 어느지역에서 암염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이 지역은 과거에 어떠한 환경이었을까? 4. 아래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층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ㄱ. 이 지역에서는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이 모두 나타난다. ㄴ. A는 B보다 구성 광물 입자가 크다. ㄷ. C~E중 대리암이 나타날 수 있는곳은 D이다. 5. 그림 (가)는 화성암의 생성 과정을 스테아르산 결정 생성으로 알아보는 실험을 나타낸 것이고 (나)는 서로 다른 장소에서 생성된 화성암 A, B를 나타낸 것이다. (1) 위 (가)에서 더운물과 얼음물에서 냉각된 스테아르산의 결정 크기를 비..

중학과학/중1 과학 문제풀이 2019. 2. 10. 00:04
Ch1 지권의 변화 Lesson 1 연습문제 2회

1. 생물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ㄱ. 지권에 사는 생물체에만 해당한다.ㄴ. 수권과는 상호 작용을 하지 않는다.ㄷ. 광합성 식물은 외권으로부터 에너지를 얻는다. ㄹ. 광합성과 호흡올 통해 기권과 상호작용을 한다. 2~3 그림은 지구계의 구성 요소를 나타낸 것이다. 2. A~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ㄱ. A는 지구 밖에서 영향을 준다. ㄴ. B와 D는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ㄷ. 태양계에서 지구에만 C가 존재한다. ㄹ. E는 시간이 흘러도 모습과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3. 위 그림에서 B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태양계에서 지구에만 존재하는 구성요소이다. 2) 지구 내부 구조를 포함한다. 3) 지구를 보온하는 역할을 한다. 4) 지구..

중학과학/중1 과학 문제풀이 2019. 2. 9. 23:03
Ch1 지권의 변화 Lesson 3 광물

광물 앞에서 암석을 보았으니 이제 암석을 이루는 알갱이를 봐 봅시다. 이 장의 제목과 같이 암석을 이루는 알갱이를 광물이라고 합니다. 지각을 구성하는 것을 암석이라고 앞장에서 배웠으니 광물은 지각을 구성하는 물질의 기본단위라 할 수 있겠습니다. 당연한 얘기 겠지만 같은 종류의 광물은 구성성분과 내부구조가 같으므로 동일한 성질을 나타냅니다. 1) 광물의 구성 광물은 원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금강석과 황과 같이 한가지 원소로만 구성된 광물도 있으나 대부분은 몇가지 종류의 원소가 결합해서 이루어져 있습니다. 원소에 대해서는 중2 과학에서 원소와 원자에 대해 배울 때 자세히 배울 것입니다. 지금은 원소라는게 물질을 이루는 기본 성분으로 물질의 성질을 유지하는 가장 작은 단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음과 같이..

중학과학/중1 과학 2019. 2. 9. 11:28
Ch1 지권의 변화 Lesson1 연습문제 1회

1. 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의 크기는 다양하다 2) 태양계는 계의 예이다 3) 우리의 몸도 하나의 계에 해당한다. 4) 계를 이루는 요소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5) 계를 이루는 요소들은 모두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2. 다음은 지구계의 각 권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이나 존재를 나타낸 것이다. 지하수 석회동굴 빙하 바람 새 삼림 지진해일 석탄 위의 각 현상들이 지구계의 어느권역에 속하는지 구분하세요 1) 지권 2) 수권 3) 기권 4) 생물권 3. 지구계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권은 지각과 지구 내부를 포함한다. 2) 기권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층이다. 3) 수권은 모두 액체 상태의 물로 존재한다. 4) 수권의 물은 지권과 기권의 공간 영역에..

중학과학/중1 과학 문제풀이 2019. 2. 8. 21:46
Ch1 지권의 변화 Lesson 1 지구계와 지구 내부구조

1. 지권의 변화 이 부분의 과학 영역은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명과학 분야로 크게 나눌 수 있는 과학에서 지구과학에 해당합니다. 지구과학은 지구 전체를 총 5개의 권역으로 나눈 다음 각 권역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서 과학적으로 접근을 합니다. 이 단원에서는 지구계의 구성 요소를 우선적으로 본 다음에 우리가 밟고 살고 있는 땅에 대해서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1 지구계와 지구 내부구조 1) 계 일단 계(系, system) 라는 개념부터 우선 보겠습니다. 한자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이을 계’ 자 입니다. 즉 계라는 것은 어떤 것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복잡하게 이어져서 전체를 구성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계에 대해서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a) ..

중학과학/중1 과학 2019. 2. 3. 12:29
중학교1 과학을 시작합니다.

중학교 1학년 과학을 시작하며 1. 개정 개정 개정.... 우리나라의 교육 정책은 근본적으로 뜯어고칠 생각이 없이 매년매년 정권이 바뀌면 이리 바뀌었다 저리 바뀌었다 합니다. 물론 과학이라는 것은 매년 새로운 발견이 이루어 지고 거기에 맞게 내용이 더 추가해야 하는것은 맞습니다. 그와 같은 내용으로 과학의 내용이 추가되고 교육과정이 바뀌는거야 머라 하지 않겠습니다만.... 이미 알려진 기본적인 내용을 이리 빼고 저리 끼워넣고 하는 통에 학년마다 배워야 할 기본 내용이 오락가락 한다는데에 문제가 있습니다. 기본적인 틀을 익히는 것을 중학교의 기본으로 삼고 추가된 내용을 고등학교 과학에서 심화하면 될 터인데 기본적인 틀도 배우는 학년을 이리저리 바꿔대는 통에 가르치는 사람들이나 배우는 학생들이나 혼란을 겪고..

중학과학/중1 과학 2019. 2. 1. 18:14
이전 1 2 3 4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2015년 개정 교육과정 중3과학 시작합니다.
  • 수달곰의 공부방 블로그 입니다.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탄성력
  • 오늘의 세계사
  • 파워디렉터365.
  • 수학 상
  • 디렉터 스위트 365
  • 영어단어
  • 변성암
  • DBMS
  • 화성암
  • 중력
  • 영어독해
  • 중학과학1
  • 영상편집
  • 고난도
  • 연습문제
  • 파워디렉터 공부
  • 중학과학
  • 평가문제
  • English
  • reading
  • 고등수학
  • 대륙이동설
  • 지구내부구조
  • 퇴적암
  • 고난도문제
  • 다항식의 연산
  • 고등수학 상
  • Word power made easy
  • 암석
  • 영어공부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